본문 바로가기

금융, 경제7

증권 IT 분석 https://warp-pantydraco-47c.notion.site/6e6c0465fbdf4aa0a5b1850231431170?v=a2fe7231357d43adbf41ad99ccf9c0c0 증권사 IT 업무 분석 | NotionBuilt with Notion, the all-in-one connected workspace with publishing capabilities.warp-pantydraco-47c.notion.site열심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혹시나 내용을 보신 전문가 분들이 계시다면 틀린점을 짚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2024. 2. 11.
증권 상품, CMA CMA란 입출금 통장에, 투자를 맡긴다는 것이다. 증권사에 어떤 상품이든 돈을 넣는다면, 이것은 투자를 하겠다는 뜻과 동일하다. 역사 2006,7년에 증권 붐이 불었다. 이로 인해 영업 인력을 높였고, 사람들의 모집을 위해 CMA의 혜택을 크게 두어 CMA가 출범했다 . CMA의 형태로는 RP MMW MMF가 있다. 이 개념들에 앞서 MONEYMARKET을 소개하려 한다. MONEYMARKET은, 단기 금융 시장이다 . 1. 은행이 돈이 필요하면 , 은행은 자기신용 자금조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로 은행에 전화한다. 이때 적용하는 금리를 콜금리라고 한다. (언급한 이유는, RP의 거래로 콜금리를 조정하기 때문이다.) 2. 은행이, 채권인 CD를 판매한다. 이 CD는 은행이 예금을 맡았다는 것을 증명하며, .. 2024. 1. 23.
경제 기본 용어 거시경제학 - 통계치를 바탕으로 국가 경제의 작동 원리를 분석한다. 국민소득인 GDP, 물가지수인 CPI 등을 활용한다. 경제의 작동을 모형화 하여 보통 확인한다. 미시경제학 - 소비자,기업,정부의 선택을 분석한다. *선택이란, 한정된 자원으로 최선의 결과를 내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시장 경제에 강압적으로 참여하기보단 시장에 최대한 맡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경기 부양 목적으로 정책을 추가하긴 한다 . 이러한 정책의 예시로는 1. 통화정책 2. 재정정책 3. 양적 완화가 있다. 통화정책 화폐의 양 뿐만 아니라, 금리 또한 조정한다 . 기준금리 + 가산금리는 시중금리로, 명목금리 - 물가 상승률은 실질 금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금리의 조정은, 기업우선을 목표로 삼는다. EX) 코로나 시대때, 경기.. 2024. 1. 23.
대한민국의 금리와, 대출 상환 방식 금리는 상대적으로 x , 나에게로의 영향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한국 내 자본이 미국으로 흐르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국도 금리를 올리거나 따라가는 추세를 지닌다 . 금리가 올라가면, 경제가 위축된다. 부채도 증가하고 투자에는 제약이 생긴다. 즉, 코스피가 감소된다. 부동산 입장에서는 금리가 줄어들면 자금이 부동산으로 많이 유입되게 된다 . ISA는, 증권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한계좌에 예금과 펀드 등등을 모두 모아두는 형식이다. 세금에도 유리하고 중계 투자도 가능하다 신탁은 투자자가 운용 지시 , 일임은 증권 전문가가, 투자중개는 투자자가 자유롭게 투자를 진행한다 . 대출 대출은 은행에서 진행한다. 신용 대출-> 담보가 없이 소득에 따라. 이자가 크다 담보.. 2024. 1. 22.
시작 https://www.slideshare.net/ssuser1cbe1b/it-2-251010950 금융It시스템의 이해 2편 금융It시스템의 이해 2편 - Download as a PDF or view online for free www.slideshare.net -증권사 업무 ppt - https://naver.me/5Dj2z7l9 이베스트투자증권 IT본부 원데이면접 복기 - 너뮤 긴장이 돼서 몇시간전부터 그냥 회사건물 앞 벤치에 앉아서 햇볕 쬐면서 기다렸다 - 앞타임 면접자... blog.naver.com -면접 관련 ppt https://www.etnews.com/20230531000255 신한투자증권 차세대 시스템, LG CNS가 맡는다 신한투자증권은 ‘프로젝트 메타’ 구축 우선 협상대상자로 LG.. 2024. 1. 21.
증권 기술 분석 첫번째 https://pololl.tistory.com/14 2024. 1. 15.
비전공자 학생이 쓰는, 금리 금리란 무엇일까? 비전공자인 내가 이해한 금리란, "돈의 가치" 이다 . 물가가 떨어지면 , 물건의 가치가 돈보다 값지다는 뜻이다.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 물가가 떨어지면 금리를 낮추어 이를 조정한다. 왜? -> 물가가 떨어지면 , 사람들이 소비를 많이해서 좋은거 아니야? * 그렇지 않다. 물가가 떨어지면, 사람들은 해당 물가가 지속해서 감소할 것을 예측하여 소비를 줄이게 된다. 소비의 감소 -> 기업의 이익 감소 -> 해고 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이러한 물가 감소로 인해 유발되는 경제 전반의 둔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한다. 반대로 물가가 상승하면,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올려 이를 조정한다. 물가 상승은 당연히 일반 사람들이 힘들기 때문에 발생하는 당연한 일이다. 또한, 사재기 현.. 2024.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