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2

OPEN API/ 2차 가공, 사용자 요청 DB의 저장, OPEN API 활용 응답 저번 과정 이후로 추가할 기능은 3가지이다. 1. 사용자의 요청 정보가 DB에 저장된다. 2. 사용자에게는 OPEN API의 응답을 가공하여 , JSON 형태로 RESPONSE BODY에 저장하여 보여준다. 3. 사용자는 본인이 언제의 정보를 요청했었는지를 D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 가장 먼저, 사용자의 REQUEST를 DB에 저장할 수 있게 ENTITY와 TABLE을 사용했다. METHOD에 대한 설명은 나중에하고, 이렇게 JPA REPOSITORY를 EXTENDS한 REPOSITORY를 생성했다 . 많은 고민을 했는데, 사용자 정보 DB저장 -> OPEN API의 RESPONSE 전달을 한 TRANSACTION으로 묶기 위해 CONTROLLER 단에서 동시 구현했다. RESPONSE ENTI.. 2024. 1. 31.
MYSQL - SPRING 연동 다시 진행하니 까먹은 내용들이 많이 있어서.. 이렇게 진행해 보겠다. 1. MYSQL이 자동으로 실행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럴땐, 해당 위치에서 생성해주자. 2. 내가 연결한 DB나 USER등을 생성해주어야 한다. mysql -u root -p MYSQL에 ROOT 계정으로 접근한다. CREATE DATABASE newdb CREATE USER jihyukcoding GRANT ALL PRIVILEGES ON newdb TO jihyukcoding; newdb라는 database를 생성하고 (table이 아니다!) jihyukcoding이라는 사용자를 만들어서, 모든 newdb의 권한 (table의 생성 , 삭제 .. curd등등) 을 부여했다. 이제 jihyukcoding으로 접근.. 2024. 1. 30.
DFS/BFS의 선택 차이 - 최단 경로 풀기 백준 2178 자연스럽게 DFS로 풀려헀으나 , 해당 문제는 DFS로는 풀 수 없는 문제였다 . import sys import copy N,M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graph = []*(N) for i in range(N) : graph.append(list(map(int,sys.stdin.readline().strip()))) # path = [ [False]*M for _ in range(N) ] def DFS(x,y,cnt) : if x= N or y= M : return if (x == N-1) and (y == M-1) : cnt = cnt + 1 return if copygraph[x][y] == 1 : copygraph[x][y] = 0 c.. 2024. 1. 30.
OPEN API를 사용할때 주의점 OPEN API를 사용하여 OPEN API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때, 주의점이 존재한다. 일단, 내가 생각하고 있는 자동매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 1. 사용자가 TYPE A, B,C를 매수 매도에 대해 설정한다(DEFAULT값이 있을 것이다.) 2. 해당 TYPE에 따라서, 프로그램에서 매수 매도 한다 . 3. 이 매수 매도 정보를 DB에 저장한다. 그렇다면, 해당 매수 매도 정보를 OPEN API에서 받아와서 사용자에게 제출해야할까? 이는 그렇지 않다. 아는 동기형 이 진행했던 프로젝트 내용을 확인해보고 물어보았다. 해당 형의 프로젝트는 서비스 프로젝트로써, 사용자가 영화를 확인하고 마음에 드는 영화를 모아놓는 형태이다. 내가 생각하기엔, 모든 영화를 OPEN API에서 받아와서 DB에 저장하고, 그.. 2024. 1. 29.
OPEN API / 활용한 공공데이터로 날씨 불러오기 가장 먼저, API의 개념을 다시 복습하자. INTERFACE란, 두개의 APPLICATION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 상호작용 시의 규칙과 행위 프론트에서 REQUEST를 보내고, 백엔드에서 RESPONSE를 보내는 이러한 규칙을 의미한다. UI란, USER INTERFACE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면과 상호작용하는 규칙과 행위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RESTFUL API는 HTTP + METHOD를 활용하여 통신하는 API를 의미한다. OPEN API란? 이러한 API 형태와 약속을 공개하는 것을 의미한다. *헷갈렸던 개념인데, 내가 요청을 보내고 이러한 OPEN API내부에서 백엔드->DB->백엔드 다시 나에게 RESPONSE 하는 형태이지, OPEN API가 DB만을 제공하거나 이러한 의미.. 2024. 1. 28.
DFS/BFS - 인접한 노드들 중 조건에 맞고 모인 노드들의 수 찾기 백준 2468 이전에 풀었던 아이스크림 만들기 문제처럼, 코드를 작성하였다.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height = [] x = 0 while x = N or y = N: return False if (cango[x][y] == False) and (height[x][y] > rain) : cango[x][y] = True #그 점은 지나.. 2024. 1. 28.
DFS /BFS - 순환 그래프 수 찾기 백준 11724 DFS로 풀어보았다. import sys sys.setrecursionlimit(10**9) N,M =map(int,sys.stdin.readline().split()) graph = [[] for _ in range(N+1)] path = [False] * (N+1) x= 0 while x < M : a,b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graph[a].append(b) graph[b].append(a) x = x+1 def DFS(start_node) : path[start_node] = True for i in graph[start_node] : if path[i] == False : path[start_node] = True DFS(i) c.. 2024. 1. 25.
DFS와 BFS - 특정 점에서 모든 경로를 찾을 때 백준 1260번을 기준으로 풀어보겠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mport sys N,M,V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graph = [[0]*(N+1) for _ in range(N+1)] for i in range(M) : x, y= map(int,sys.stdin.readline().split()) graph[x][y] = 1 graph[y][x] = 1 공통으로써, 1~5이지만 편의를 위해 0부터 GRAPH의 연결을 표시했다. 그 이후, 각 노드간의 연결점을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visited = [True] * (N+1) 지나감을 알려주는 방법, 1차원 배열을 이런식으로 표현할 수 있음에 주의하자 DFS 준비 사항 : 1... 2024. 1. 23.
증권 상품, CMA CMA란 입출금 통장에, 투자를 맡긴다는 것이다. 증권사에 어떤 상품이든 돈을 넣는다면, 이것은 투자를 하겠다는 뜻과 동일하다. 역사 2006,7년에 증권 붐이 불었다. 이로 인해 영업 인력을 높였고, 사람들의 모집을 위해 CMA의 혜택을 크게 두어 CMA가 출범했다 . CMA의 형태로는 RP MMW MMF가 있다. 이 개념들에 앞서 MONEYMARKET을 소개하려 한다. MONEYMARKET은, 단기 금융 시장이다 . 1. 은행이 돈이 필요하면 , 은행은 자기신용 자금조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로 은행에 전화한다. 이때 적용하는 금리를 콜금리라고 한다. (언급한 이유는, RP의 거래로 콜금리를 조정하기 때문이다.) 2. 은행이, 채권인 CD를 판매한다. 이 CD는 은행이 예금을 맡았다는 것을 증명하며, .. 2024. 1. 23.
경제 기본 용어 거시경제학 - 통계치를 바탕으로 국가 경제의 작동 원리를 분석한다. 국민소득인 GDP, 물가지수인 CPI 등을 활용한다. 경제의 작동을 모형화 하여 보통 확인한다. 미시경제학 - 소비자,기업,정부의 선택을 분석한다. *선택이란, 한정된 자원으로 최선의 결과를 내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시장 경제에 강압적으로 참여하기보단 시장에 최대한 맡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경기 부양 목적으로 정책을 추가하긴 한다 . 이러한 정책의 예시로는 1. 통화정책 2. 재정정책 3. 양적 완화가 있다. 통화정책 화폐의 양 뿐만 아니라, 금리 또한 조정한다 . 기준금리 + 가산금리는 시중금리로, 명목금리 - 물가 상승률은 실질 금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금리의 조정은, 기업우선을 목표로 삼는다. EX) 코로나 시대때, 경기.. 2024.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