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ler
사용자의 입력이 최초로 받아들여지는 곳
@Restcontroller -> 완성할 bean이 , restcontroller라는 type으로 등록.
response body가 자동으로 달린다. 즉 , RESTAPI를 입력으로 받는 진입점으로 사용하겠다
사실상 @Component이다.
@Component ? 가장 기본적인 방식. -> 최소한의 단위 . 모듈로써 시스템을 유지보수하는 부품.
컴포너트는 클래스와 다른 개념이고 , interface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모든 빈은 컴포넌트이지만 모든 컴포넌트가 빈은 아님. 어노테이션으로 해당 class가 빈임을 알린 형태.
'기능, 혹은 시각적인 하나의 요소 '
완성한 CLASS를 COMPONENT로 등록할때는 @COMPONENT를,
완성한 CLASS를 METHOD 단위로 CONFIGURATION(주로 외부 라이브러리 등록)시
@BEAN을 사용한다.
개념상으로 하나의 컴포넌트에는 여러가지 CLASS가 포함될 수도, 한가지 CLASS일 수도 있따.
CLASS는, 특정 객체를 정의하기 위한 METHOD와 변수. (객체 생성을 위한)
모듈과 컴포넌트 :기능적인 요소 하나를 의미하고, 둘 다 한개의 폴더도, CLASS도 될 수 있지만 .
구조적인 요소 하나일땐 모듈 EX) 팔 COMPONENT는 독립적으로 실행되고 배포되는 . 좀더 현실적인 단위
10CLIENT - 1 SERVER시, 모듈은 2개, 컴포넌트는 11개
@ResponseBody를 달아준다는 것의 의미 . 순수한 API로 만든다. 이는 json으로 받아서 json으로 응답하는데, 이 어노테이션을 통해서 이를 가정하고 준비해준다. 요청하는 측에서도 자동으로 변경하지만, JSON으로 값을 내릴게! 란 뜻
@GetMapping("/어쩌구저쩌구")
해당 url로 들어온 get method의 요청에 따라서 이하의 행동을 진행하겠다.
(post,put등등도 마찬가지이다)
ex)
@Slf4j를 통해서, log로 요청이 잘 들어왔음을 띄워주었다!
'백엔드 > 스프링+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nsaction, Transactional (0) | 2023.12.28 |
---|---|
H2 database , DB활용 / Entity 추가 / Repository,service 간단 복습 (0) | 2023.12.27 |
롬복 + Dto 상세 (0) | 2023.12.27 |
테스트 (0) | 2023.12.25 |
Controller (0) | 202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