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프로젝트때 test를 하지 않고 만들어서 끝난후 오류 찾으려니 힘들었던걸 기억하자 .
짧은 단위로 테스트를 해주는 것이 굉장히 유리하다.
class 들어간 후 -> 우클릭, 생성 .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
-> servicetest의 시작에 추가되는 어노테이션
@MOCK? 나무위키 출처
모의 객체(Mock Object)란 주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테스트할 경우 테스트를 수행할 모듈과 연결되는 외부의 다른 서비스나 모듈들을 실제 사용하는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실제의 모듈을 "흉내"내는 "가짜" 모듈을 작성하여 테스트의 효용성을 높이는 데 사용하는 객체이다.
DB없이 어떻게 DB를 테스트할것이냐에 대한 답의 의미 .
mock은 인스턴스가 필요없는 인터페이스 등에 주로 활용하고,
@InjectMocks는 todoservice와 같이 class형태일때 사용한다.
@WebMvcTest(ToDoController.class)
-> 웹계층을 테스트 하기 위한 전용 어노테이션, controller등에 사용하며 service엔 사용할 수 없다.
//TEST CODE 작성은, 완성할 순 있겠으나 아직 스프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최종 정리 후 완성하자 한다.
'백엔드 > 스프링+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troller , componet 어노테이션. CLASS, 컴포넌트, 모듈 . (0) | 2023.12.27 |
---|---|
롬복 + Dto 상세 (0) | 2023.12.27 |
Controller (0) | 2023.12.21 |
Service (0) | 2023.12.21 |
Repository (0) | 2023.12.21 |